본문 바로가기

지식저장소

2023년 서울 지하철 요금 인상: 8년 만에 변동된 지하철 요금은?

서울의 대중교통 요금은 수도권 대중교통 요금정책의 주요한 일부로서, 특히 도시 생활에 깊은 영향을 미칩니다.

대중교통 요금의 인상은 이용자들의 부담을 늘리는 반면, 운영 사업자의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최근에는 서울 지하철과 버스 요금이 인상되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서울 지하철의 기본 요금이 2023년 10월 7일부터 1,250원에서 1,400원으로 150원 인상되고,

시내버스 기본 요금은 8월 12일부터 1,200원에서 1,500원으로 300원 인상된다는 소식입니다.

 

이 인상은 물가대책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한 것으로, 이전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있었던 2015년 이후 8년만의 상황이었습니다.

 

 

그렇다면 서울의 대중교통 요금은 어떻게 변해 왔을까요?

서울시는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공공교통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1974년부터 지하철 운행을 시작하였고, 이후 지하철과 버스의 요금제는 수차례 변경되었습니다. 초기에는 물가 상승률에 따라 요금이 조정되었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운영비용, 노선 길이, 이용자 수 등을 고려한 복잡한 요금체계로 바뀌었습니다. 서울의 대중교통 요금은 이런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산정되며, 인상은 주로 운영비의 증가,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결정되곤 합니다.


 

지하철 요금

 

서울에 지하철이 처음 소개된 것은 1974년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된 때이며, 이 때 기본구간 요금은 30원이었습니다

이후 지하철의 기본구간 요금은 10~30원 단위로 지속적으로 인상되어 1981년에는 100원이 되었으며, 1986년에는 200원이 되었습니다.

그 후 지하철 요금은 50원 단위로 계속 인상되었고, 1993년 300원, 1995년 400원, 1999년 500원으로 책정되었으며 이후에는 100원 단위로 인상되었습니다.

지하철의 요금체계는 초기에는 기본구간 요금을 결정하고 초과구간에 대해서는 일정수준의 요금을 추가 부담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었습니다.

이후 1985년부터 구역제로 바뀌어 기본구간은 1구간으로 하고, 이를 넘어서는 외곽지역은 2구간으로 하는 총 2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요금이 책정되었다. 2000년에는 기본구간인 1구간은 600원이였고, 초과구간인 2구간은 700원이었습니다.

이후 다시 거리비례제로 변경되어 2012년 현재 기본구간 1,050원에 5km초과구간마다 100원을 추가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지하철 요금은 지하철 개선 및 부채상환을 목적으로 꾸준히 인상되었습니다.
특히 1980년 중반에서 1990년 중반까지 지하철 3, 4호선 건설시 투입된 막대한 예산으로 인해 버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인상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하철 요금은 운영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수준으로, 1990년의 1인당 평균운임은 운영원가의 56%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 : 1999년 이전 : 통계로 본 서울교통, 1998, 서울시

        1999년 이후 : 서울시-분야별정보-교통-주요교통통계-교통요금)


시내버스 요금

화폐단위가 원으로 통일된 1965년 이후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시내버스 요금은 1965년 8원에서 2012년 현재 1,050원으로 131배 증가하였습니다.

1970년대의 버스 요금은 15원~80원으로 100원 미만이었으며, 1980년대에도 200원 미만의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버스요금이 200원을 넘어선 것은 1992년 이후이며 이후 200~500원대를 거쳐 2000년에는 600원에 이르렀고, 2007년에 1,000원에 도달했습니다.

버스요금의 지불방식도 여러 차례 변화하였습니다.

1977년 10월 요금인상과 함께 주화식 승차표(토큰)가 사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1994년 12월에는 선불카드인 버스카드 제도가 시범 운영되었으며, 이듬해인 7월부터는 버스카드 이용을 전체 노선으로 확대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신용카드에 교통카드 기능을 추가하여 교통요금을 신용카드로 지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출처 : 1975년 이전 : 통계로 본 서울교통, 1998, 서울시

        1975년 이후 : 서울특별시 버스운송사업조합, 버스이용안내-요금변천사

 


 

서울시는 대중교통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요금 할인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승객, 어린이, 청소년, 장애인, 노인 등 특정 대상자들을 위한 할인제도가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요금 인상은 이런 할인율의 변동 없이 일괄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요금 인상 결정은 여러 요인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 운영비용 증가 등 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의 경제적 부담, 대중교통 이용률, 환경 문제 등 사회적, 환경적 요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대중교통 요금 인상은 결코 쉬운 결정이 아닙니다.

이번 인상이 이루어진 것은 시민 경제 상황, 정부 물가 시책 협조, 수도권 지역 협의 등을 고려한 결과였습니다.

 

 


 

이처럼 서울의 대중교통 요금은 수많은 요인을 고려하여 산정되며, 시대와 함께 변화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적절한 요금 정책이 도입되어, 대중교통의 이용률 증가와 동시에 운영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길 기대합니다.